(회양나무, 도장나무, 고양나무)
학명: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학명: Buxus koreana Nakai ex Chung & al.
과명: 회양목과
형태: 상록활엽관목
크기: 높이 7m 정도 자랍니다.
잎
잎은 타원형으로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는데 워낙 마디 사이가 좁기 때문에 잎이 잔가지들을 완전히 덮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잎은 두껍고 가죽처럼 빳빳하고 윤기가 난니다.
잎 표면의 주맥 하반부에 털이 있고, 끝이 약간 패여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며 뒷면 쪽으로 약간 말려듭니다.
열매
삭과(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고 각 칸에 많은 씨가 든 열매)로 달걀형입니다.
열매는 털이 없으며 갈색으로 9월 초~10월 말에 익습니다.
열매끝에 딱딱하게 된 암술머리가 있습니다.
열매는 털이 없으며 갈색으로 9월 초~10월 말에 익습니다.
열매끝에 딱딱하게 된 암술머리가 있습니다.
꽃
연한 황색으로 핍니다.
연한 황색으로 핍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3~4월에 암수꽃이 몇 개씩 한 군데에 달립니다.
중앙부에 암꽃이 있고, 수꽃은 1~4개의 수술이 있습니다.
중앙부에 암꽃이 있고, 수꽃은 1~4개의 수술이 있습니다.
분포
일본, 평안남도 및 함경남도 이남 전 지역에 분포합니다.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자라지만 경상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황해도에서 많이 자랍니다.
우리나라 전국에 걸쳐 자라지만 경상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황해도에서 많이 자랍니다.
주로 산지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라며, 산중턱과 골짜기에서 자랍니다.
정원수로 이용합니다.
목재는 도장목, 조각재로 쓰입니다.
잔가지와 잎은 약용합니다. 한방에서는 진해, 진통, 거풍 등에 약재로 이용합니다.
석회암지대가 발달된 북한 강원도 회양(淮陽)에서 많이 자랐기 때문에 회양목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재는 도장목, 조각재로 쓰입니다.
잔가지와 잎은 약용합니다. 한방에서는 진해, 진통, 거풍 등에 약재로 이용합니다.
석회암지대가 발달된 북한 강원도 회양(淮陽)에서 많이 자랐기 때문에 회양목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