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찝빵나무, 누운측백, 누운측백나무)
학명: Thuja koraiensis Nakai
학명: Thuja koraiensis Nakai
과명: 측백나무과
형태: 상록침엽소교목
크기: 수고 10~20m, 지름 20~30㎝의 소교목이지만 흔히 2m 미만의 관목상으로 자랍니다.
잎
잎은 비늘 모양으로 끝이 뭉뚱하고 가운데 것은 모가 나며, 옆의 것은 타원상 삼각형입니다.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2개의 뚜렷한 백색 줄이 있으며 향기가 강합니다.
측백나무와 비슷하나 잎의 앞뒷면이 구분이 어려운 측백나무와는 달리 뒷면에 흰색 숨구멍줄이 있어 잎의 앞뒤구분이 쉽습니다.
열매
구과(목질의 비늘조각이 여러겹으로 포개진 열매)로 9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어 벌어집니다.
씨앗바늘은 긴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원형입니다.
종자는 한 열매에 5~10개 들어 있으며 넓적한 타원형으로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씨앗바늘은 긴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원형입니다.
종자는 한 열매에 5~10개 들어 있으며 넓적한 타원형으로 양쪽에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5월에 핍니다.
수꽃은 달걀모양이고 황색이며 암꽃은 달걀모양이고 8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집니다.
수꽃은 달걀모양이고 황색이며 암꽃은 달걀모양이고 8개의 비늘조각으로 이루어집니다.
분포
원산지는 한국, 만주이며, 중국, 한국(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태백시)와 북한의 아고산지대에 분포합니다.
숲속의 골짜기에서 자생합니다.
관상용으로 이용하며 지피용, 생울타리용으로 이용하면 좋습니다.
주로 잎(측백엽), 근피(백근백피), 줄기(백지절), 종자내의 인(백자인), 수지(백지) 등을 약용합니다.
주로 잎(측백엽), 근피(백근백피), 줄기(백지절), 종자내의 인(백자인), 수지(백지) 등을 약용합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