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나무, 저상)
학명: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학명: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과명: 뽕나무과
형태: 낙엽활엽관목
크기: 높이 3m 정도 자랍니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흔히 2~3갈래로 갈라집니다.
잎 끝은 날카롭고 간혹 깊이 갈라진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잎표면은 거칠며 뒷면은 잎자루와 더불어 털이 있다가 없어집니다.
잎을 자르면 흰 액이 나옵니다.
열매
핵과(씨가 굳어서 된 단단한 핵으로 싸여 있는 열매)는 표면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있습니다.
열매는 둥글고 8월 말~10월에 주홍색으로 익습니다.
겉열매껍질은 열매자루와 더불어 굵어지며 육질로 되어 적색으로 익어 딸기와 비슷하고 안쪽열매껍질에 입상의 돌기가 있습니다.
열매를 저실자(楮實子)라 합니다.
열매는 둥글고 8월 말~10월에 주홍색으로 익습니다.
겉열매껍질은 열매자루와 더불어 굵어지며 육질로 되어 적색으로 익어 딸기와 비슷하고 안쪽열매껍질에 입상의 돌기가 있습니다.
열매를 저실자(楮實子)라 합니다.
꽃
꽃은 암수한그루로 5~6월에 잎과 더불어 핍니다.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둥근 모양(1cm)입니다.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둥근 모양(1cm)입니다.
분포
원산지는 한국이며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합니다.
충청남북도 이남,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등 전국의 표고 100~700m에 자생합니다.
충청남북도 이남,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등 전국의 표고 100~700m에 자생합니다.
산기슭 양지쪽, 밭둑에 납니다.
열매와 어린 잎을 식용합니다.
창호지나 표구용 화선지 등 종이를 만들었습니다.
옛날에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로 저포(楮布)라는 베를 짜서 옷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제지 및 옷을 만들기 위한 섬유를 채취할 목적으로 식재한 곳도 많습니다.
부드러운 枝葉(지엽), 樹汁(수즙) 또는 根皮(근피)를 構皮麻(구피마)라 하며 약용합니다.
줄기를 꺾으면 딱 하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닥나무라 합니다.
창호지나 표구용 화선지 등 종이를 만들었습니다.
옛날에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로 저포(楮布)라는 베를 짜서 옷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제지 및 옷을 만들기 위한 섬유를 채취할 목적으로 식재한 곳도 많습니다.
부드러운 枝葉(지엽), 樹汁(수즙) 또는 根皮(근피)를 構皮麻(구피마)라 하며 약용합니다.
줄기를 꺾으면 딱 하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닥나무라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