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자작나무, 자작나무, 무재작이)
학명: Betula costata Trautv.
과명: 자작나무과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높이 30m, 지름 1m 정도 자랍니다.
잎
잎은 어긋나고 난상 타원형, 긴 달걀상 타원형 또는 긴 달걀모양입니다.
잎 끝이 좁고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습니다.
표면은 털이 있거나 없고 뒷면은 선점이 있으며 맥위에 털이 있고 측맥은 10~16쌍입니다.
열매
소견과의 달걀꼴입니다.
열매에는 열매의 나비보다 좁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습니다.
열매에는 열매의 나비보다 좁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습니다.
꽃
붉은색으로 핍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5~6월에 핍니다.
수꽃은 밑으로 늘어지고 암꽃차례는 곧게 서며 긴 타원모양으로 짧은 자루가 있습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5~6월에 핍니다.
수꽃은 밑으로 늘어지고 암꽃차례는 곧게 서며 긴 타원모양으로 짧은 자루가 있습니다.
분포
중국 동북부, 백두대간에 전라남도 지리산까지 분포합니다.
중부 이북의 표고 600m~1,200m 지대 산허리 이상의 숲속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합니다.
지리산 자생지에 특히 계곡을 따라 분포하며 태백산, 지리산, 설악산 중부 이북에서 자라나 개체수는 많지 않습니다.
가로수, 풍치수, 공원수로 개발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목재는 건축재, 조각재, 특수용재, 고급용재로 Art용지를 만들때 쓰이며, 악기, 목공예로도 쓰입니다.
이른봄에 수액을 채취해 약용, 식용, 술로 이용합니다.
잎은 염료, 비룔로 이용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게 자라는 나무입니다.
중국 동북부, 백두대간에 전라남도 지리산까지 분포합니다.
중부 이북의 표고 600m~1,200m 지대 산허리 이상의 숲속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생합니다.
지리산 자생지에 특히 계곡을 따라 분포하며 태백산, 지리산, 설악산 중부 이북에서 자라나 개체수는 많지 않습니다.
가로수, 풍치수, 공원수로 개발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목재는 건축재, 조각재, 특수용재, 고급용재로 Art용지를 만들때 쓰이며, 악기, 목공예로도 쓰입니다.
이른봄에 수액을 채취해 약용, 식용, 술로 이용합니다.
잎은 염료, 비룔로 이용가능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게 자라는 나무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